1. 전도도 (Conductivity)
σ : Conductivity (전도도)
σ 가 높으면 전류를 잘 흐르게 하는 물질입니다.
$$ R(저항)= \rho \frac{L}{A} , \ \sigma (전도도) = \frac{1}{ \rho (비저항)} $$
2. 반도체 (Semiconductor)
도체(Conductor) : 높은 전도도 (σ ↑)
절연체(Insulator) : 낮은 전도도 (σ ↓)
반도체(Semiconductor) : 중간의 전도도를 가지며 외부의 자극을 통해 전도도를 통제할 수 있습니다.
반도체로 활용될 수 있는 물질은 주기율표 내에서 13족에서 15족에 있는 물질들을 사용합니다.
주로 13에서 15족을 사용하는 이유는 이들이 서로 공유결합을 하기 때문입니다.
[ 공유결합 : 원자들이 전자를 공유하여 만드는 결합, 화학적으로 안정화 됨 ]
그중에서도 14족에 있는 물질들 중, 특히 실리콘(Si) 이 주로 쓰입니다.
화합물 반도체(Compound semiconductor) : 두가지 또는 세가지 물질들을 화합하여 만드는 반도체 (ex. GaAs, InGaAs)
산화물 반도체(Oxide semiconductor) : 산화물 막을 씌워 전자흐름을 원활하게 만든 반도체 (ex. SnO_2, TiO_2)
3. 원자 배열의 주기성에 따른 반도체의 분류
비정질(Amorphous) - 원소가 아무런 규칙 없이 배열
단결정(Single crysralline) - 원소가 일정한 규칙으로 배열
다결정(Polycrystalline) - 일부는 비정질, 일부는 단결정으로 이루어진 반도체이며,
단결정으로 되어있는 부분을 grain으로 칭하며 그 경계를 grain boundary로 칭합니다
성능이 가장 좋은 반도체는 단결정 반도체이며
넓은 면적 반도체(디스플레이)는 비정실이나 다결정 반도체를 사용합니다.
'전자 > 물리전자공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물리전자공학 6 - 밴드 갭의 특성, 전자친화도 (0) | 2022.02.20 |
---|---|
물리전자공학 5 - 에너지 밴드, 가전자 대역, 전도 대역, 밴드 갭 (0) | 2022.02.19 |
물리전자공학 4 - 반도체의 캐리어, 전자와 정공 (0) | 2022.02.18 |
물리전자공학 3 - 밀러 지수 (Miller index) (0) | 2022.02.17 |
물리전자공학 2 - 반도체 결정 구조 (0) | 2022.02.1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