물리전자공학 3 - 밀러 지수 (Miller index)
1. 밀러 지수 (Miller index) - 밀러 지수를 구하는 법 - 1. 결정면 위 원자와 좌표축과의 교점을 찾습니다. 2. 교점을 나타내는 계수를 구합니다. 3. 정수 조합에 역수를 취합니다. 4. 최소공배수를 곱해서 정수 조합을 얻어 밀러 지수를 구합니다. ※ 밀러 지수를 사용하는 이유는 실공간 내에 있는 것들을 역공간 내에서 해석하기 위함 입니다. ※ 1. 결정면 위 원자와 좌표축과의 교점을 구합니다. - 3x, 2y, 1z 2. 계수를 구합니다. - 3, 2, 1 3. 역수를 취합니다. - 1/3, 1/2, 1 4. 최소공배수를 곱합니다. - 2, 3, 6 $$ \therefore Miller \ index \ = \ (2, \ 3, \ 6 ) $$