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누적 확률 분포 함수 (CDF)
누적 확률 분포 함수(CDF) : 랜덤 변수 X가 특정 값 x보다 같거나 작을 확률
$$ F_{X}(x) = P(X \leq x) $$
2. 이산 랜덤 변수와 연속 랜덤 변수에서의 CDF 와 PDF / PMF
이산 랜덤 변수일 때는 한 점에서의 확률이 존재하지만
연속 랜덤 변수일 때는 한 점에서의 확률을 정의할 수 없습니다.
예를 들어
주사위 눈의 수에 대한 확률의 경우 이산 랜덤 변수이기 때문에 각 눈에 따른 확률을 정의할 수 있지만
무한개의 점을 갖는 연속 랜덤 변수는 정의가 불가능 합니다.
여기서 PDF와 PMF를 구분하여야 하는데
PDF는 확률 밀도 함수이며 연속 확률 변수일 때 사용하며
PMF는 확률 질량 함수이며 이산 확률 변수일 때 사용합니다.
3. 확률 밀도 함수 (PDF) 와 누적 확률 분포 (CDF) 의 관계
$$ p_{X}(x)= \frac{dF_{X}(x)}{dx} $$
$$ F_{X}(x)= \int_{- \infty}^{} p_{X}(x) dx $$
PDF는 CDF의 미분 형태 입니다.
4. 확률 밀도 함수 (PDF)의 특성
$$ p_{X}(x) \geq 0 $$
$$ \int_{- \infty}^{\infty} p_{X}(x)dx=1 $$
$$ F_{X}(x)= \int_{- \infty}^{x} p_{X}( \alpha)d\alpha $$
$$ P(x_{1}<X \leq x_{2})=\int_{x_{1}}^{x_{2}} p_{X}(x)dx $$
'전자 > 확률 및 랜덤프로세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확률 및 랜덤 프로세스 5 - 랜덤 변수 (0) | 2022.01.16 |
---|---|
확률 및 랜덤 프로세스 4 - 확률 이론 (0) | 2022.01.15 |
확률 및 랜덤 프로세스 3 - 신호 및 시스템 기본 2 (0) | 2022.01.14 |
확률 및 랜덤프로세스 2 - 신호 및 시스템 기본 1 (0) | 2022.01.12 |
확률 및 랜덤프로세스 1 - 확률 및 랜덤프로세스 개요 (0) | 2022.01.11 |